본문 바로가기
일상

4대보험 가입여부 확인하기

by 3D배우는사람 2023. 11. 27.

직장인이라면 출근을 시작함과 동시에 가입하게 되는 "4대보험"입니다. 4대보험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면 국민의 노령, 질병, 사망에 대비한 "국민연금", 질병과 부상에 대한 "건강보험", 실업에 대한 "고용보험", 업무상 재해에 대한 "산업재해보험"이 있습니다.  아르바이트(=파트타임)를 하여도 가입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가입이 되어있는지 '4대보험 확인방법'에 대해서 하나하나 단계별로 정확하게 알아볼까 합니다. 

 

 

4대보험 가입여부 확인방법 

4대보험-가입여부-확인하기-4대보험정보연계센터
첫 번째

첫 번째. 네이버 (혹은 다른 검색 사이트에서) 4대보험 이라고 검색을 하면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가 검색이 됩니다. 그 사이트에 들어가면 됩니다.

 

4대보험-가입여부-확인하기-로그인
두 번째

두 번째.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위의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거기서 "개인 비회원 로그인"(화면 오른쪽 빨간색 네모칸)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4대보험-가입여부-확인하기-간편인증
세 번째

세 번째. "개인 비회원 로그인"을 누르시면 위의 세 번째 사진과 같이 나옵니다. 그때 '로그인'의 방법을 택하시면 됩니다. 회원가입을 하셔도 무관하지만 '간편인증'이 존재하므로 저는 개인적으로 간편인증을 추천합니다.

 

4대보험-가입여부-확인하기-증명서-발급-신청

네 번째. 로그인을 하시면 네 번째 사진과 같이 나오는데, 그때 아래쪽을 보시면 증명서발급 - "증명서 신청/발급' (빨간색 네모칸)이 있습니다. 그것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4대보험-가입여부-확인하기-신청-발급
다섯 번째

다섯 번째.  여기서 '안내사항'이 있는데 아래에서 설명을 할 것이지만 "꼭" 한 번씩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여기서는 화면의 가운데 있는 '확인'버튼을 눌러줍니다.

 

4대보험-가입여부-확인하기-가입자-가입내역확인서
여섯 번째.

여섯 번째. 이젠 거의 다 왔습니다. 여기서 오른쪽 상단에 있는 '확인' 아니면 가운데 맨 아래에 있는 '확인' 이렇게 두 개가 있는데 두 개 중 아무 "확인"이나 눌러도 됩니다. 

 

4대보험-가입여부-확인하기-증명서-출력
일곱 번째

일곱 번째. 여기서 이젠 대충 4대보험의 가입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렇게 처리여부에서 "출력가능"이라고 되어있으면 가입이 되어있다는 뜻으로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더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 '출력'의 버튼을 누르셔서 확인하셔야 합니다.

 

4대보험-가입여부-확인하기-가입자-가입내역-확인서
여덟 번째

여덟 번째. '출력'버튼을 누르면 '확인서'를 '출력'할 수 있는 창이 뜹니다. 그러면서 위와 같은 '4대보험 가입내역 확인서'가 뜹니다. 그러면 내가 현재 어디에 소속이 되어 있어서 가입이 되었는지 한 번에 알 수 있습니다.

 

 

4대보험 가입확인 - 모바일 & 정부24

일단 '4대보험정보연계센터'에서는 모바일로 4대보험 가입확인을 하실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모바일로 확인하시려는 분들은  PC로 4대보험 가입이력 조회를 하거나 혹은 다른 방법을 통해서 모바일로 확인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정부 24에서는 '4대사회보험 가입자 가입내역 확인서(개인)'을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2022년 11월 3일부터)  - '정부24' 혹은 '4대사회보험정보연계센터' 둘 중 편하신 곳에서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4대보험 가입여부 확인할 때 - 주의사항

여기서 주의사항은 첫 번째. '4대보험정보연계센터'에서는 '현재시점'의 가입여부만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4대보험 과거 가입이력 및 과거 시점 가입자 명부'를 원하시면 4대 보험 공단 콜센터 혹은 보험별로 각각 신청을 따로 하셔야 합니다. 두 번째. 300인 이상 사업자의 가입자 명부는 '4대사회보험정보연계센터'에서 확인하실 수 없습니다. 이 경우는 '4대보험 공단 지사 민원창구 중 한 곳에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4대 사회보험료 납부 관련 증명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