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제공되는 국가건강검진은 건강보험에 가입한 사람이라면 참여해야 합니다. 2년에 한 번씩 건강검진을 받으라는 알림을 받게 되는데, 보통 홀수년엔 홀수년 출생자들이 대상이 되고, 짝수년에는 짝수년 출생자들이 검진의 대상자가 됩니다. (즉, 2년에 1회) (직장가입자 중 '비사무직'은 1년에 1회 입니다.) 그런데 자기가 더 정확하게 대상자가 맞는지 아닌지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의 방법 그대로 따라 하시면 쉽게 아실 수 있습니다.
국가건강검진 - 국민건강보험 공단에서 대상자 조회 방법
첫 번째. 네이버 혹은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에서 '국민건강보험'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로그인' 버튼을 누릅니다.
두 번째.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회원가입을 하셔도 좋고, 다른 로그인 방법을 사용하셔도 좋지만 간단하게 '간편인증(민간인증서)'를 사용하시는 것이 가장 간편하고 좋습니다.
세 번째. 로그인을 하시면 제일 처음화면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단지 맨 위에 '로그인'과 '로그아웃'으로 바뀌었을 뿐입니다.) 그러면 이젠 "건강검진 대상조회"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네 번째. 건강검진 대상조회를 클릭하시면 위와 같이 '건강검진 대상자'인지 아닌지에 대해서 알려줍니다.
국가건강검진 - 검진 항목
검진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단, 기본적인 항목에서 '남녀노소' 상관없이 모두 받는 항목이 있고, 연령과 성별에 따라서 구분된 항목이 있습니다.
또한 연령과 성별에 따라서 받을 수 있는 '암 검진항목'도 존재를 합니다. 암 검진대상에 해당된다면 검사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지만 검진주기도 있고, '대장암 검사'같은 경우는 유예기간 및 조건이 몇 가지 있으니 자신이 해당되는지 건강검진을 받으러 가는 병원에 정확하게 문의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국가건강검진 - 병원 찾기
그러면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 병원을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똑같이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 들어갑니다.
첫 번째. 일단 상단의 메뉴에 "건강iN"을 누르시면 아래의 메뉴에 '검진기관/병원찾기'가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합니다.
두 번째. '검진기관/병원찾기'를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거기서 자기가 사는 '도시' 및 '시/군/구'를 선택하시고 '일반검진'만 받을 것인지 아니면 '암검진'과 같이 받을 것인지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검색'을 하시면 자기 집 근처 병원이 나옵니다. (꼭! 자기가 받는 검진을 체크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암검진을 받으려고 하는데 체크를 안 하면 '일반검진'만 하는 병원도 같이 나옵니다.)
국가건강검진 - 대상자(직장가입자)가 받지 않으면 "과태료"
국가건강검진 대상자여도 받지 않아도 됩니다. 단!! 직장가입자가 대상자이면 "무조건" 받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과태료"가 발생합니다. 국가건강검진 대상자인데 미실시 하면 "사업장"은 과태료 1,000만원, "근로자"는 300만원 과태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꼭 건강보험 직장가입자는 꼭!! 대상자인지 아닌지 확인하시고 검진받으시고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팀목전세자금대출 - 필요서류 (0) | 2024.03.10 |
---|---|
HUG 일반 버팀목전세자금 대출 - 월세보증금 받기 완료 후기 (0) | 2024.02.21 |
4대보험 가입여부 확인하기 (0) | 2023.11.27 |
쿠키도우즈 - 성수 쿠키 맛집 (0) | 2023.10.19 |
가양역 양천향교역 실내 테니스 - 네오테니스 가양홈플러스점 오픈 (0) | 2023.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