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에 대한 설명
- 인체는 분류를 남 / 녀 그리고 나이로 분류할 수 있다.
- 나이로 분류하는 것은 단순하게 분류하면 *어린이 *성년 *노인 이렇게 분류할 수 있다.
이렇게 분류하게 된다면 그 분류에 따라서 조금씩 인체에 대한 차이가 생기게 된다.
하지만
남자 / 여자, 어린이 / 성년 / 노인
이렇게 분류한다고 해도
모두가 가지고 있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그 공통점에서 상체에 관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모든 사람의 쇄골의 모양은 일자로 본다.
( 정확하게 공부하고 말하자면 일자라고 할 수 없다. 그러나 로우폴리곤에서는 일자로 봐도 무방한 것 같다.)
.
.
.
.
잠깐 그림을 보고 설명하자면
살짝 올라가는 부분도 존재하고, 살짝 내려가는 부분도 존재한다.
그런데 저것을 로우폴에서는 폴리곤을 적게 사용해서 표현해야 하므로
일자로 거의 표현하는 것 같다.
상부에서 봐도 같다.
위 사진을 일자로 잘라서 단면을 본다면
이 사진과 같아진다.
즉 일자로 쭉 뻗어나가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정확하게 본다면
자전거 손잡이 모양으로 되어 있다.
.
.
.
.
이렇듯 엄청나게 자세하게 하려면 이러한 디테일을 따지며 작업을 해야 하지만
로우폴에서는 폴리곤의 제한에 따라서 이렇게 상세하게 할 수 없으므로,
일자로 표현하게 되는 편인 것 같다.
(하이폴에서는 일자가 아닌 사진 또는 다른 강의와 같이 비슷하게 해야 할 것 같다. 그런데 내가 아직 하이폴까지는 하지 않아서 정확하게 알려줄 수 없다.)
둘째.
모든 상체의 기준은 배꼽을 기준으로 잡는다.
셋째.
허리는 (배꼽을 기준) 갈비뼈 튀어나오는 부분 바로 아래에서, 골반 바로 위까지로 본다.
사진을 보면서 확인을 해보자
첫째.
노란색으로 색칠한 부분이 쇄골이다.
좌우 대칭이므로 보면
노란색 선은 일자로 직선이지만
그 아래에 부분이나
(투명도를 낮추었기 때문에 보인다.)
오른쪽 진짜 쇄골 모양을 보면 일자가 아니다.
이와 같이 실제 쇄골을 보았으니 로우폴에서는 어떻게 되는지 보자
( 이 사진이 완벽한 로우폴은 아니다.)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노란색 선 부분과 노란색 선을 긋지 않은 부분도 같이 보자)
보면 쇄골이 살짝 직선 비슷하게 되어있다.
즉 곡선 부분이 많이 없다고 볼 수 있다.
또,
곡선 부분을 아예 표현하지 않고 직선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둘째.
모든 상체의 기준을 배꼽인데 이것은 그냥 단순하게 보면
배꼽이 인체의 정중앙에 가깝게 있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가? 생각해본다.
사진을 봐도 되고 거울의 자신을 보면서 봐도 된다.
빨간색 점이 배꼽이 위치한 곳이다.
셋째.
허리는 정면에서 봤을 때 갈비뼈 맨 아래 튀어나오는 부분 바로 아래에서, 골반 바로 위까지로 본다고 했으니
확인해보자.
빨간색 작선이 골반의 위치에서 직선으로 그은 것이고
노란색 직선이 갈비뼈 맨 아래 튀어나온 부분을 직선으로 그은 선이다.
이 두 선 사이가 허리라고 보면 된다.
.
.
.
.
이렇게 인체(상체)에 대한 공통점을 알아보았다.
더 자세한 예시는 직접 공부 혹은 나중에 내가 또 올려보겠다.
다음에는 인체(상체)에 대한 차이점을 알아보겠다.
'3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 08 - 02 작업일지 (0) | 2022.08.03 |
---|---|
2022 - 08 - 01 작업일지 (0) | 2022.08.02 |
2022 - 07 - 31 작업일지 (0) | 2022.08.01 |
2022-07-30 작업일지 (Pro Boolean) (0) | 2022.07.31 |
어린이 인체 & 성인 인체 비교 (여자 - 상부편) (0) | 2022.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