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Realty Income (리얼티 인컴)[O] 2분기 보고서

by 3D배우는사람 2022. 9. 4.

출저 : Realty Income

 

"리츠주" 

 

주식하는 사람들에게 말한다면

 

여러 가지 주식들이 나올 겁니다.

 

그렇지만

 

이 주식만큼은 빠지지 않고,

 

한 번씩은 꼭 나올 거라고 생각됩니다.

 

"REALTY INCOME" 

 

(티커 : O)

 

유명한 이유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제가 생각했을 때는

 

"월배당"

 

이 이유가 가장 유명하게 만든 요인들 중에 

 

하나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저도 "월배당"을 제외하고는

 

무엇이 좋은지,

 

연간 보고서와 분기 보고서를 보고

 

공부한 적이 없어서

 

이번 기회에 공부하면서 올려보려고 합니다.

 

 

.

.

.

 

 

 

그럼 제가 생각하는 "리츠주"의 중요 Point들을

 

'리얼티 인컴'에 하나씩 넣어보면서 봐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리츠주를 볼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이

 

"AFFO"

배당가능자금

 

이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깁니다.

 

배당을 줄 수 있어야 이 리츠주들은 메리트가 있습니다.

 

그래서

 

AFFO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지만!

 

이것을 제외하고도 지켜봐야 하는 요소들이 많이 있습니다. 

 

공실률

 

임대 잔여기간

 

고객

 

분포

 

이것을 보지 않는다면

 

이 리츠주가 불황일 때 버틸 수 있는지? 없는지? 

 

미래에 안정적일 수 있을지? 없을지?

 

파악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지금부터 한번 Realty Income(리얼티 인컴)을 보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STORE CAPITAL (STOR)의 주주이기도 해서, 

 

STOR과 Realty Income(리얼티 인컴)과 비교를 할 수 있는 부분은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

.

.

 

 

공실률

 

Realty Income(리얼티 인컴)의 2분기 보고서를 보면

 

공실률은 1.1%입니다.

 

임대율이 98.9%이니, 공실률이 1.1%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TOR 2분기 보고서를 보면 0.5%인 것을 생각한다면

 

아쉬운 수치라고 생각됩니다.

 

.

.

.

.


"임대 잔여기간"

(공실은 포함되지 않음)

 

2022년 계약 만료 0.6%

2023년 계약 만료 4.4%

2024년 계약 만료 5.1%

2025년 계약 만료 6.4%

2026년 계약 만료 5.9%

2027년 계약 만료 8.5%

2028년 계약 만료 7.8%

2029년 계약 만료 7.2%

2030년 계약 만료 5.5%

그 이후 48.6%

 

 

이 부분을 보고는 놀랬습니다.

 

이렇게 높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에,

 

더 놀라웠던 것 같습니다.

 

STOR 같은 경우는

 

30년 이후를 제외한 평균치를 내면

 

약 1.85%입니다.

 

그런데

 

Realty Income(리얼티 인컴) 같은 경우는

 

평균 5.71%입니다.

 

약 3배 차이가 발생합니다.

 

리얼티 인컴 같은 경우 재계약이 잘 되는 것인지?

 

관심이 없었는데, 이것은 꼭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

.

.

.

 

 

고객 & 분포

 

Realty Income(리얼티 인컴)의 고객 분포를 보면

 

"Retail"에 집중이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포트폴리오도 가지고 있습니다만,

 

"Retail"에 비하면, 

 

정말 작은 수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산업 군을 대분류하면

 

Retail - 84%

 

Industrial 14.3%

 

Other - 1.7%

 

 

 

이 산업 군들 중에서

 

중분류하여  Top 10의 산업을 꼽으면

 

아래와 같습니다.

 

출저 : Realty Income

 

 

 

그리고 각각의 기업으로 소분류하여

 

Top 20을 뽑으면 아래와 같습니다.

 

 

출저 : Realty Income

 

 

이 20개 기업들을

 

리얼티 인컴이 카테고리 별로 분류했는데

 

도움이 되실 수도 있어서 올려봅니다.

(하지만, 저는 왜 저렇게까지 분류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출저 : Realty Income

 

 

마지막으로

 

Realty Income의 지역 분포도를 보면 

 

아래의 지도와 같습니다.

 

출저 : Realty Income

 

.

.

.

.

 

Realty Income의 재무를 제외한 관련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이젠 재무 관련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AFFO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FFO가 엄청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AFFO 뿐만 아니라

 

매출, 순익익 등등 자세한 내역을 봐도

 

엄청나게 증가하였습니다.

 

불경기여서

 

유지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엄청나게 증가한 이유에 대해서는

 

알아봐야 하겠지만,

 

2021년 

 

부동산의 엄청난 호황기에 힘입어서

 

2022년에 결과로 나타나지 않았나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AFFO만 간단하게 비교하면

 

 

 

2021년 상반기 VS 2022년 상반기

  2021년 6개월 2022년 6개월
AFFO USD 645,900,000 USD 1,163,800,000

 

약 80% 증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21년 2분기 VS 2022년 2분기

  2021년 2분기 2022년 2분기
AFFO USD 327,600,000 USD 583,700,000

 

약 78% 증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정말 엄청나게 증가하였습니다.

 

이것은 STOR와 비교해도 따라갈 수 없을 정도입니다.

 

.

.

.

.

 

 

이렇게 Realty Income(리얼티 인컴) 2분기 보고서를 보았습니다.

 

정말 사람들이 안정적인 리츠주라고 말하여서,

 

보고서는 제대로 본적이 한 번도 없었는데,

 

이번에 제대로 보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의외로 아쉬웠던 부분

 

생각보다 너무 뛰어난 부분이

 

각각 있어서, 이번에 더 공부하면서 제대로 더 파악을 해봐야겠습니다.

 

 

매수, 매도 추천 절대 아닙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