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외화 정기예금 - 장점과 단점

by 3D배우는사람 2024. 3. 25.

외화-정기예금-달러-1금융-Logo

해외주식을 하고 있는데 마땅하게 투자하고 싶은 기업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배당을 받으면 그냥 계좌에 쌓아두고 있었는데 그 돈이 가만히 놀고 있는 것이 아까워 이리저리 찾아보다가 '외화 정기예금'에 가입했습니다. '외화'도 1 금융권에서 '원화'처럼 '정기예금'이 가능한 것을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자세하게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외화 정기예금 - 외화 보통예금과 다르다.

"외화 정기예금"을 '외화 보통예금'과 혼동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런데 둘이 다른 상품입니다. '외화 보통예금' 같은 경우는 보통 0.00% ~ 0.01% 금리가 붙는 '외화 일반 일출금 통장'입니다. 그래서 저 같은 경우 배당금이 주식계좌로 들어오면 그 배당금을 '외화 보통예금'으로 이체를 합니다. 그리고 그 외화로 "외화 정기예금"을 가입합니다. (번거롭다고 생각하실 수 있으나 이렇게 하는 이유를 밑에 언급하겠습니다.)

 

 

외화 정기예금 - 장점

외화 정기예금의 장점은 2가지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첫째. 국내 예적금보다 금리가 높다.

  • 2024년 3월 기준 - 1 금융권의 원화 예금 금리가 12개월 기준 '3.25% ~ 3.5%' 입니다. 그런데 외화(달러 기준) 정기예금의 금리는 1 금융권(= NH농협)에서 12개월 기준 "4.93%" 입니다. (외국계은행인 SC제일은행 같은 경우는 5%가 넘습니다.)

둘째. '환율'입니다.

  • 환율이 오르면서 얻게 되는 이익을 '환차익'이라고 합니다.
  • 예시를 들어 금리가 5%의 정기예금을 '1달러 = 1,000원'이었을 때 가입하였다가 찾을 때 '1달러 = 1,200원'이 되었다고 가정을 하고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세금은 계산을 하지 않겠습니다.)
  • 1달러를 5% 정기예금을 적용하면 1.05달러가 됩니다. 만약 환율이 오르지 않아서 '1달러 = 1,000원'이라면 1,050원입니다. 하지만 찾을 때 '1달러 = 1,200원'이라면 1,260원이 됩니다. 즉, 210원의 환차익이 발생합니다.

  

 

외화 정기예금 - 단점

외화 정기예금의 단점도 2가지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첫째. 환전을 할 때 수수료를 내야 한다. - 저의 해결 방법

  • 일부 은행들 혹은 증권사에서 환율우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환율우대를 받지 않으면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 그래서 저는 '증권 계좌'에서 '은행 외화 보통예금'으로 달러를 이체하고 그 달러로 '외화 정기예금'을 가입했더니 수수료를 지불하지 않았습니다. (이것도 증권사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꼭! 꼭! 증권사에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외화 정기예금'이 만기가 되어 '원화'로 찾을 때 환전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증권사 혹은 은행 환율 우대를 꼭 확인하시고 은행 환전 혹은 다시 증권사로 입금해서 환전하시면 됩니다.)

 

둘째. "환율"입니다. - 장점이자 단점

  • 환율이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손실을 '환차손'이라고 합니다.
  • 예시를 들어 금리가 5%의 정기예금을 '1달러 = 1,000원'이었을 때 가입하였다가 찾을 때 '1달러 = 900원'이 되었다고 가정을 하고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세금은 계산을 하지 않겠습니다.)
  • 1달러를 5% 정기예금을 적용하면 1.05달러가 됩니다. 만약 환율이 떨어지지 않아서 '1달러 = 1,000원'이라면 1,050원입니다. 하지만 찾을 때 '1달러 = 900원'이라면 945원이 됩니다. 즉, 105원의 환차손이 발생합니다.

 

 

외화 정기예금 - 상황에 따라서 이용하기

지금 미국 금리가 내려간다는 소식이 들려옵니다. 그런데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그리고 미국의 금리가 내려간다고 국내 금리가 내려갈지 그리고 미국 금리가 떨어진다고 환율이 떨어질지 혹은 상승할지 아무도 모릅니다. 그러므로 그때그때 상황을 보면서 외화 정기예금을 이용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또한 월급에서 일정 부분 적금을 하는 것처럼 배당금의 일부분을 외화 정기예금을 하는 것도 방법인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