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월 1일 이후부터 외국인 투자자가 PTP 관련 상품을 매도할 때는 무조권 매도 금액의 10%을 원천징수 하기로 한 것을 기억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또한 한국 정부가 PTP 관련 상품에 대해서는 공제를 해주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골치가 아파졌던 기억이 있으신 분들도 계실 겁니다. 그런데 원자재 ETF 중에서 PTP 관련 상품이 아닌 ETF도 있다는 것을 아시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그것을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참고로 PTP 관련 상품이란 원유, 가스, 금, 은 등등 천연자원이나 부동산, 인프라 분야에 파트너십 형태로 투자하는 상품을 뜻합니다.)
미국주식 - 원자재 ETF의 PTP세금의 문제
이 PTP 관련 상품의 세금이 왜 문제가 되냐면 "손실"이 난 경우도 무조건 10%를 원천징수를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서 제가 1000만원의 원자재 ETF를 매수를 했습니다. 그런데 20%의 손실을 보고 800만원에 매도를 하였습니다. 그러면 원래는 세금이 없습니다. 그런데 PTP 관련 상품의 세금이 생겨서 800만원의 세금을 미국정부가 가져갑니다. 그러므로 저는 800만원의 10%인 80만원의 세금과 손실 200만원 총 280만원의 손실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웃긴 상황이 발생합니다. 원래는 양도소득세 기본공제액 250만원, 손실액 200만원 그리고 PTP 세금 80만원을 포함해서 530만원 이상의 수익이 생겨야 세금이 발생했겠지만 우리나라 정부가 공제를 해주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해당이 되지 않습니다. 즉 양도소득세 기본공제액 250만원을 초과하는 수익이 발생하면 저는 세금을 내야합니다.
더 웃긴 것은 "수익"이 생긴 경우도 머리가 복잡해진다는 것입니다.
위의 예시와 같이 1000만원의 원자재 ETF를 매수했습니다. 그리고 20%의 수익이 발생해서 200만원의 수익이 발생했고 매도를 했다고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제가 1200만원을 매도한 순간 PTP 세금 120만원을 미국정부가 원천징수로 가져갑니다. 즉 200만원의 수익이 발생했는데 제가 가져간 돈은 80만원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양도소득세 계산 시에도 문제가 발생합니다. 제가 가져간 돈은 80만원이지만 매도 시에 200만원의 수익이 발생했기 때문에 이 200만원이 해외주식 매매 차익으로 잡히게 됩니다. 그래서 양도소득세 기본공제액인 250만원에서 차감되어 남은 한도인 50만원 초과 시에 세금을 내야 합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PTP 세금을 피할 수 있는 원자재 ETF를 찾는 방법이 중요합니다.
미국주식 - ETF의 PTP 세금 유무 확인 방법
여기 ETF.COM(http://etf.com)에 들어가시면 아래의 사진과 같이 화면이 나옵니다.
그러면 오른쪽 상단에 돋보기 모양이 있는데 그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돋보기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두 번째 사진과 같이 나옵니다. 그러면 검색란에 찾고 있는 원자재 ETF의 티커를 검색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기 위해서 GSG 원자재 ETF를 검색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검색결과가 나오는데 찾고 있던 원자재 ETF의 티커명이 맞는지 확인하시고 클릭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왼쪽 메뉴바에 있는 "Effciency & Fit"를 클릭해 주시고 화면을 보시면 오른쪽에 Tax Exposure 네모칸이 있는데 거기서 "Distributes K1"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GSG처럼 PTP 세금의 대상이면 Distributes K1이 "YES"라고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PTP 세금의 대상이 아니면 Distributes K1이 "NO"라고 되어있습니다. 여기 원자재 ETF 중 하나로 유명한 PDBC ETF가 있습니다. Tax Exposure의 Distributes K1이 NO라고 되어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PTP 세금의 대상에서 제외가 되었다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모든 원자재 ETF가 PTP 세금의 대상이 아니다.
이렇게 원자재 ETF가 PTP 세금의 대상인지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보셨다시피 모든 원자재 ETF가 PTP 세금의 대상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자기가 원하는 원자재 ETF를 찾아보시고 ETF가 PTP 세금의 대상인지 아닌지 찾아보신 다음에 세금 대상이면 조금 더 좋은 ETF가 있는지 혹은 이 세금을 감수하고 투자를 할 것인지 고민해시고 아니라면 원하는 ETF에 투자하셔서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화 정기예금 - 장점과 단점 (0) | 2024.03.25 |
---|---|
Luminar Technologies (티커 : LAZR) - CEO Austin Russell의 Forbes 인수 실패 & Danimer Scientific (티커 : DNMR) - Insdier Transaction (0) | 2023.11.30 |
Danimer Scientific (티커 : DNMR) - 2023년 3분기 업데이트 (0) | 2023.11.18 |
Luminar Technologies (티커 : LAZR) - 2023년 3분기 보고서 업데이트 (0) | 2023.11.12 |
Canadian Pacific Kansas City (티커 : CP) 3분기 보고서 (0) | 2023.11.06 |
댓글